간무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무 천황은 781년부터 806년까지 재위한 일본의 제50대 천황이다. 그의 치세는 수도의 두 차례 천도(나라에서 나가오카쿄, 그리고 다시 헤이안쿄로)와 에미시 정벌이라는 두 가지 주요 사건으로 특징지어진다. 간무 천황은 적극적인 정치 개혁을 추진하여 정부 조직을 개선하고, 교육 과정을 개편했으며, 승려들의 유학을 지원하여 불교의 발전을 도왔다. 또한, 그의 어머니가 백제 무령왕의 후손이라는 기록이 있어, 한국과의 인연으로도 주목받는다. 그는 3명의 천황을 배출했으며, 그의 후손들은 다이라 씨 가문을 이루어 무사로 활약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간무 천황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이름 | 간무 천황 |
한자 이름 | 桓武天皇 |
일본어 이름 | かんむてんのう |
출생 이름 | 야마베 (山部) |
다른 이름 | 가시와라 제 일본네코 황통 미테루 존 천국압박어우 가시와라 천황 |
재위 | 781년 4월 30일 – 806년 4월 9일 |
즉위 | 781년 5월 12일 |
즉위 유형 | 일본 |
대례 | 781년 12월 4일 |
시대 | 나라 시대 - 헤이안 시대 |
연호 | 덴오 엔랴쿠 |
수도 | 교토 |
황거 | 헤이조 궁 나가오카 궁 헤이안 궁 |
출생 | 737년 |
출생지 | 나라 |
사망 | 806년 4월 9일 |
사망지 | 헤이안 궁 정침 가시와라 다이스케 |
장례 | 806년 4월 28일 |
능묘 | 가시와바라 능 |
칭호 | 간무 천황 |
일본식 칭호 | 야마토네코아마쓰히쓰기이야테리노 스메라미코토 (日本根子皇統弥照天皇) |
묘호 | 간무 천황 |
붕어 장소 | 헤이안쿄 |
탄생 장소 | 헤이조쿄 |
천황 이름 | 간무 천황 |
계승 정보 | |
선대 | 고닌 천황 |
후대 | 헤이제이 천황 |
가족 관계 | |
배우자 | 후지와라노 오토무로 |
자녀 | 헤이제이 천황 사가 천황 준나 천황 이요 친왕 가쓰라하라 친왕 만타 친왕 미네노 야스요 외 다수 |
아버지 | 고닌 천황 |
어머니 | 다카노노 니이가사 |
후비 및 자녀 정보 | |
황후 | 후지와라노 오토무로 |
비 | 사카히토 내친왕 |
부인 | 후지와라노 다비코 후지와라노 기치시 다지히노 마무네 후지와라노 코쿠시 |
2. 생애
桓武天皇|간무 텐노일본어는 737년 아버지 시라카베노 오키미와 백제인의 후손이라고 기록돼 있는 어머니 다카노노 아소미니가사에게서 태어났다.[49][50] 일본 언어학계의 가나자와 쇼사부로는 간무가 백제인이라고 말했던 적이 있고, 아키히토는 2001년 12월 23일 "간무 천황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고 <속일본기>에 기록돼 있는 사실에 한국과의 깊은 인연을 느낀다."라고 말하였다.[49][50]
처음에는 황족이 아닌 관료로서 출세가 기대되어 대학두와 시종에 임명되었다. 그러나 34세 때 쇼토쿠 천황의 붕어로 아버지 시라카베노 오키미가 고닌 천황으로 즉위하면서 상황이 크게 변했다.
아버지의 즉위 후 친왕 선하와 함께 사품이 수여되었고, 후에 중무경에 임명되었으나, 생모의 출신이 낮았기 때문에 황태자가 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후지와라 씨 등을 끌어들인 정쟁으로 이복동생인 황태자 다토 친왕의 어머니 이노에 내친왕이 772년 4월 9일에, 다토 친왕이 같은 해 7월 2일에 잇따라 폐위되면서, 773년 1월 29일에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그 배경에는 후지와라 시키케의 후지와라노 모모카와의 옹립이 있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이노에 내친왕과 다토 친왕은 같은 날 같은 유폐 장소에서 사망하였으나, 간무 천황은 다토 친왕의 친언니인 사카히토 내친왕을 비로 삼아 아사하라 내친왕을 낳았다.
781년 4월 30일, 아버지 고닌 천황의 양위를 받아 천황에 즉위하고, 다음 날 동모 동생인 사와라 친왕을 황태자로 정했다. 783년 5월 23일에는 후지와라노 모모카와의 형인 후지와라노 요시쓰구의 딸인 후지와라노 오토무로를 황후로 맞이하여, 안덴 친왕과 가미노 친왕을 낳았다. 또한, 후지와라노 다비코와의 사이에는 오토모 친왕이 있었다.
후지와라노 요시쓰구 사후에는 후지와라노 쓰구나와가 중용되어 간무 천황의 치세를 지탱했다.[28]
785년 9월, 사와라 친왕을 후지와라노 다네쓰구 암살 혐의로 폐태자하고 유배 보냈으나, 사와라 친왕은 단식 끝에 유배 중에 사망했다. 이에 따라 같은 해 11월 25일, 안덴 친왕을 황태자로 삼았다. 또한, 같은 해 11월 10일, 오사카부 히라카타시에서 일본 최초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 교시를 행하였다. 787년 11월 5일에는 두 번째 교시를 행하였다.
791년, 후지와라노 오토무로 사후 신노 친왕의 유모였던 기쓰네 하마토지메에게 가미노노 스쿠네라는 성을 하사하였다.
재위 중인 806년 4월 9일에 붕어하였다. 향년 70세. 안덴 친왕이 헤이제이 천황으로 즉위하였다.
2. 1. 출생과 즉위
桓武天皇|간무 텐노일본어는 737년 아버지 시라카베노 오키미와 백제인의 후손이라고 기록돼 있는 어머니 다카노노 아소미니가사에게서 태어났다.[49][50] 가나자와 쇼사부로는 간무가 백제인이라고 말했던 적이 있고, 아키히토는 2001년 12월 23일 "간무 천황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고 <속일본기>에 기록돼 있는 사실에 한국과의 깊은 인연을 느낀다."라고 말하였다.[49][50]諱|이미나일본어는 야마베였다.[4] 그는 시라카베 친왕의 장남이었으며, 시라카베가 즉위하기 전에 태어났다.[5] 『속일본기』에 따르면, 야마베의 어머니 야마토노 니이가사(훗날 다카노노 니이가사라 불림)는 백제의 무령왕(462~523)의 10대손이었다.[6]
아버지가 천황이 된 후, 간무의 이복형제인 오사베 친왕이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그의 어머니는 성무 천황의 딸인 이노에 내친왕이었지만, 오사베가 아닌 간무가 후계자로 지명되었다. 775년 이노에 내친왕과 오사베 친왕이 유폐된 후 사망하자, 오사베의 여동생이자 간무의 이복자매인 사카히토 내친왕이 간무의 황후가 되었다.[7] 훗날 781년 즉위한 간무는 어머니가 다카노노 니이가사인 그의 동생 사와라 친왕을 황태자로 임명했다. 덴무 천황의 손자 시오야키 친왕과 쇼무 천황의 딸 후와의 아들인 히카미노 카와츠구는 782년 쿠데타를 기도했으나 실패했고, 카와츠구와 그의 어머니는 유배되었다. 785년 사와라 친왕은 폐위되어 유배 중 사망했다.
- 737년:[4] 간무가 태어났다.
- 773년:[11] 황태자의 칭호를 받았다.
- 781년 4월 30일:[12] 고닌 천황이 퇴위하고 그의 아들 간무가 계승하였다.[13] 곧이어 간무 천황이 즉위했다고 한다.[14]
2. 2. 천도와 에미시 정벌
간무 천황의 주요 업적은 수도를 헤이조쿄(나라)에서 나가오카쿄(784년)로 옮기고, 다시 헤이안쿄(794년)로 천도한 것이다. 헤이안쿄의 황궁 이름은 헤이안노미야(平安宮)였으며, 이는 일본 역사의 헤이안 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사건이었다.[16]간무 천황은 정부 조직과 기능을 개선하고자 노력한 적극적인 천황이었다.[10] 그는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758~811)를 에미시 정벌에 파견했다.[10]
- 784년, 간무 천황은 나라의 불교 세력이 정치에 간섭하는 것을 막기 위해 수도를 나가오카쿄로 옮겼다.[19] 그러나 천도 후 재앙이 잇따르자, 785년에는 수도 건설 책임자였던 후지와라노 타네츠구가 암살당했다.
- 789년, 간무 천황의 군대가 에미시와의 전투에서 크게 패배했다. 같은 해, 심각한 가뭄과 기근으로 수도는 혼란에 빠졌고, 많은 사람들이 징병과 강제 노역을 피하기 위해 승려로 위장했다.
- 792년, 간무 천황은 전국적인 징병 제도를 폐지하고 지방 유력자 중심의 민병 조직 체제로 전환했지만, 이는 천황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
- 794년, 간무 천황은 다시 수도를 헤이안쿄(현재의 교토)로 옮겼다. 갑작스러운 천도는 백성들에게 큰 혼란을 야기했다. 같은 해, 오토모노 오토마로를 초대 쇼군 ("세이이타이쇼군"— "오랑캐 정벌 대장군")으로 임명하고,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와 함께 북부 혼슈의 에미시를 정벌했다.[8]
- 801년,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가 이끄는 군대가 에미시 정벌에 성공하여 아테루이 등 500명의 에미시를 교토로 호송했다.[29]
- 803년,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가 시와성을 축조하면서 에미시 정벌이 마무리되었다.[29]
간무 천황은 쇼토쿠 태자(574–622) 때부터 시작된 황실의 불교 장려 정책이 승려들의 정치 개입, 음모, 부패 증가로 이어졌다고 판단하여 불교 세력의 영향력을 줄이기 위해 노력했다.[19]
2. 3. 정치 개혁과 말년
간무 천황은 일본의 수도를 헤이조쿄(나라)에서 나가오카쿄(784년)로 옮겼다가 다시 헤이안쿄(794년)로 옮기는 등 적극적인 정치 개혁을 추진했다. 이는 헤이안 시대의 시작이었다.[16] 정부 조직과 기능을 개선하고자 노력했으며, 사카노우에노 다무라마로를 에미시 정벌에 파견하기도 했다.[10]- 781년: 고닌 천황이 아들 간무 천황에게 양위하였다.[13]
- 782년: 좌대신 후지와라노 우오나가 파면되어 유배되었다가 돌아와 사망했다.[15] 후지와라노 다마로가 우대신이 되었으나, 좌대신과 우대신 자리가 비어 주요 상담원(다이나곤)과 천황이 직접 권력을 행사했다.[17]
- 783년: 우대신 다마로가 사망하고, 후지와라노 고레키미가 새로운 우대신이 되었다.[2]
- 793년: 덴교의 지도 아래 엔랴쿠지 건설이 시작되었다.[16]
- 794년: 수도를 헤이안쿄로 이전하고, 황궁을 헤이안노미야(平安宮)로 명명했다.[4] 오토모노 오토마로를 초대 쇼군으로 임명하여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와 함께 북부 혼슈의 에미시를 정벌했다.[8]
- 806년: 간무 천황이 70세로 사망했다.[18]
간무 천황은 쇼토쿠 태자 때부터 시작된 황실의 불교 장려 정책으로 인한 승려들의 정치 개입과 부패를 막기 위해 수도를 나라에서 나가오카쿄로 옮겼다.[19] 그러나 천도는 재앙으로 이어져 후지와라노 타네츠구 암살 사건 등이 발생했다.
간무 천황은 제국의 영토 확장을 위해 군대를 파견했으나, 789년 큰 패배를 당했다. 같은 해 심각한 가뭄과 기근으로 백성들이 고통받았고, 징병과 강제 노역을 피하기 위해 불교 승려로 위장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792년 간무 천황은 전국적인 징병 제도를 폐지하고 지방 유력자 중심의 민병 조직 체제로 대체했지만, 이는 천황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다. 794년 다시 수도를 헤이안쿄로 옮겼으나, 갑작스러운 결정으로 혼란이 발생했다. 간무 천황의 통치 기간 동안 일본의 국경은 다무라 마로의 지휘 아래 확장되었다.[20]
정치적으로 간무 천황은 대학 교육 과정을 변경하여 통치를 강화했다. 공자 사상을 바탕으로 "춘추좌씨전"에 기반한 새로운 교육 과정을 승인했으며, 798년에는 두 주석서가 정부 대학의 필독서가 되었다. 또한 사이초와 구카이의 중국 유학을 후원하여 각각 천태종과 진언종의 일본 지파 설립에 기여했다.
간무 천황의 통치 기간 동안, 다이죠칸의 주요 관직은 다음과 같았다.
직책 | 이름 | 재임 기간 |
---|---|---|
사다이진 | 후지와라노 우오나 | 781–782[15] |
사다이진 | 후지와라노 타마로 | 783 |
우다이진 | 오나카토미노 키요마로 | 771–781 |
우다이진 | 후지와라노 타마로 | 782–783[15] |
우다이진 | 후지와라노 코레키미 | 783–789[15] |
우다이진 | 후지와라노 쓰기나와 | 790–796[15] |
우다이진 | 미와 오키미 (미와 오) | 798–806 |
우다이진 | 후지와라노 우치마로 | 806–812[15] |
고닌 천황과 백제인의 후손으로 기록된 다카노노 아소미니가사에게서 태어났다. 일본의 한국 식민 통치를 뒷받침한 일본 언어학계의 가나자와 쇼사부로는 간무가 백제인이라고 말한 적이 있으며, 일본 제125대 천황 아키히토는 2001년 12월 23일 만 68세 생일을 맞아 기자회견에서 "간무 천황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고 속일본기에 기록돼 있는 사실에 한국과의 깊은 인연을 느낀다"라고 말했다.[49][50]
간무 천황에 대한 평가는 현대에 이르러서도 다양하게 나타난다. 특히 2001년 아키히토 일왕은 일본서기의 기록을 언급하며 간무 천황의 어머니가 백제 무령왕의 후손이라는 점을 밝혔는데, 이는 일본 황실 계보에 한국계 혈통이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인정한 최초의 사례였다.[26] 속일본기에 따르면, 간무 천황의 어머니인 다카노노 니이가사는 무령왕의 아들 순타태자의 후손이며, 순타태자는 513년 일본에서 사망했다.[26]
헤이조쿄에서 비대해진 나라 불교 세력을 견제하고, 덴무 천황 계통에서 덴지 천황 계통으로 황통이 바뀐 상황에서, 간무 천황은 야마시로국으로 천도했다. 나가오카쿄를 건설했지만, 자연재해와 친족의 불행 등이 발생하자 와케노 키요마로, 후지와라노 코구로마로 등의 건의를 받아들여 헤이안쿄로 다시 천도했다.
에미시 정벌을 위해 세 차례 원정을 감행, 사카노우에노 타무라마로를 발탁하여 아테루이 등 에미시를 교토로 호송하고 시와성을 축조하여 동북 지방 평정에 성공했다.
말년에는 후지와라노 오쓰구의 건의를 받아들여 헤이안쿄 건설과 군사 원정을 중단했다(덕정상론).[29] 건지 제도를 도입하여 백성들의 병역 부담을 해소했지만, 이 제도 역시 곧 기능하지 않게 되었다.
문화적으로는 『속일본기』 편찬을 발안하고, 사이초를 당에 유학 보내 천태종을 배우게 하는 등 일본의 불교에 새로운 움직임을 가져왔다. 기존 불교 세력에는 압박을 가했으며, 후궁의 혼란은 야쿠시의 변의 원인이 되기도 했다.
간무 천황은 적극적인 친정을 펼쳤지만, 청년기에 관료 교육을 받고 장년기에 즉위한 것이 대규모 정책 실행을 가능하게 했다.
3. 가족 관계
관계 이름 아버지 고닌 천황 어머니 다카노노 니가사 황후 후지와라노 오토무로 부인 (추존 황태후) 후지와라 다비코 비 사카히토 내친왕 부인 후지와라노 요시코 부인 다지히노 마무네 부인 후지와라 오쿠소 뇨고(女御) 기노 오토이오 뇨고(女御) 구다라노코니키시 교호 뇨고(女御) 다치바나 미코 뇨고(女御) 후지와라 나카코 뇨고(女御) 다치바나노 쓰네코 뇨고(女御) 후지와라노 마사코 궁인 사카노우에 마타코 궁인 사카노우에 하루코 궁인 후지와라노 가와코 궁인 후지와라노 아즈마코 궁인 후지와라노 헤이시 궁인 기노 와카코 궁인 후지와라 우에코 궁인 다치바나 다무라코 궁인 가와카미 마누 궁인 구다라노니키시 교닌 궁인 구다라노니키시 조쿄 궁인 나가토미 도요코 뇨주(女嬬) 다지히노 도요쓰구 뇨주(女嬬) 구다라노 나가쓰구 뇨주(女嬬) 구다라노 묘신 관계 이름 장남 헤이제이 천황 (후지와라노 오토무로 소생) 차남 사가 천황 (후지와라노 오토무로 소생) 차녀 고시 내친왕 (후지와라노 오토무로 소생) 7남 준나 천황 (후지와라 다비코 소생) 장녀 아사하라 내친왕 (사카히토 내친왕 소생) 3남 이요친왕 (후지와라노 요시코 소생) 4남 가쓰가하라친왕 (다지히노 마무네 소생) 손자 다카미왕 (가쓰가하라친왕의 아들) 증손 다이라노 다카모치 (다카미왕의 아들), 간무 헤이지의 시조 9남 사미친왕 (다지히노 마무네 소생) 10남 가야친왕 (다지히노 마무네 소생) 11남 오노친왕 (다지히노 마무네 소생) 3녀 이나바내친왕 (다지히노 마무네 소생) 4녀 아노내친왕 (다지히노 마무네 소생) 5남 만다친왕 (후지와라 오쿠소 소생) 딸 가라쿠내친왕 (다치바나 미코 소생) 16녀 스가와라내친왕 (다치바나 미코 소생) 황녀 오야케 내친왕 (다치바나노 쓰네코 소생) 12녀 다카쓰내친왕 (사카노우에 마타코 소생) 12남 가도이친왕 (사카노우에 하루코 소생) 황녀 가스가내친왕 (사카노우에 하루코 소생) 12남 나카노친왕 (후지와라노 가와코 소생) 13녀 아토키내친왕 (후지와라노 가와코 소생) 딸 오이내친왕 (후지와라노 가와코 소생) 15녀 기노내친왕 (후지와라노 가와코 소생) 딸 요시하라내친왕 (후지와라노 가와코 소생) 딸 간나비내친왕 (후지와라노 아즈마코 소생) 8녀 이토내친왕 (후지와라노 헤이시 소생) 7남 or 14남 아스카친왕 (기노 와카코 소생) 7녀 시게노내친왕 (후지와라 우에코 소생) 딸 이케노우에내친왕 (다치바나 다무라코 소생) 아들 사카모토친왕 (가와카미 마누 소생) 9남 오타친왕 (구다라노니키시 교닌 소생) 14녀 스루가내친왕 (구다라노니키시 조쿄 소생) 5녀 후세내친왕 (나가토미 도요코 소생) 아들 나가오카노 오카나리 (다지히노 도요쓰구 소생) 아들 요시미네노 야스요 (구다라노 나가쓰구 소생)
4. 백제와의 관계
간무 천황의 어머니 고노니가사는 백제계 귀화인(渡来人)으로, 사(史)씨(姓) 관위(カバネ) 와씨(和氏)였다. 중앙 정부에 고위 관직을 배출하는 씨족은 아니었으며, 니가사의 외가인 토시씨(土師氏) 역시 유력한 씨족은 아니었다. 광인 천황의 황후인 이노우에 내친왕이 폐위되고 산베 친왕(간무 천황)이 황태자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니가사는 황후가 되지 못하고 종삼위(従三位) 부인(夫人)의 지위에 머물렀다.
간무 천황은 즉위 직후인 781년 4월에 어머니 니가사를 황태부인(皇太夫人)으로 책봉하고, 사촌인 와가마로(和家麻呂)는 이례적인 출세를 하였다. 외조모 쪽의 토시씨는 다이에(大枝, 大江) 아소미(朝臣), 스가와라 아소미(朝臣) 등의 성을 받았다. 790년 1월 니가사를 장사 지내기 전날, 와씨는 백제 무령왕의 후손이며, 백제 왕족의 시조인 도모왕(동명왕(東明王))은 하백(河伯) (朝鮮)의 딸이 햇빛을 쬐어 임신하여 낳은 자식이라고 하여, 니가사에게 "천고지일자희존(天高知日之子姫尊)"이라는 시호(諡号)를 추증하였다.[41] 790년 2월 "백제왕씨는 짐의 외척이다"라는 칙령을 내리고, 백제왕씨(百済王氏)의 관직을 승진시켰다.[42] 백제왕씨를 외척이라 칭함으로써 어머니 니가사의 출신 씨족을 명목상 고귀하게 만들어 어머니의 신분을 격상시키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재위 중, 백제왕씨의 근거지였던 교야(交野)에 사냥을 위해 자주 행차하여 백제왕씨를 중용하였다. 또한, 후궁에 백제왕씨인 교법(教法)·교인·정향을 맞이하고, 백제왕명신(百済王明信)을 상시(尚侍)로 임명하였다.[43]
2001년 12월 18일, 천황탄생일을 앞두고 매년 열리는 기자회견에서 상황 명치(간무 천황의 남계(男系) 자손)는 다음 해에 예정된 FIFA 월드컵 한일 공동개최에 대한 “말씀”에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다.[41] “저는 개인적으로 간무 천황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는 것이 『속일본기』에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의 인연을 느끼고 있습니다. 무령왕은 일본과의 관계가 깊었고, 이때 이후로 일본에는 오경박사가 대대로 초빙되었습니다. 또한 무령왕의 아들 성왕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4]
이 발언은 각 방송사 뉴스에서 반복적으로 보도되었지만, 일본의 주요 신문들은 간략하게 보도했다. 한국에서는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황실은 한국인의 혈통을 잇고 있다”, “황실 백제 기원론”, “일왕이 비밀스러운 사실을 폭로했다” 등 발언 의도와는 다른 보도도 많았다.[45][46]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환영의 뜻을 표명할 정도였다.[47]
5. 평가
5. 1. 한국과의 관계
2001년, 아키히토 일왕은 기자들에게 "저는 개인적으로 한국과 특별한 연관성을 느낍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는 『일본서기』에 간무 천황(737~803)의 어머니가 백제 무령왕(462~523)의 후손이라는 기록이 있기 때문입니다. 일본 일왕이 황실 계보에 한국계 혈통이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때가 처음이었습니다.[26] 『속일본기』에 따르면, 간무 천황의 어머니인 다카노노 니이가사(720~790)는 무령왕의 아들인 순타태자의 후손입니다. 순타태자는 513년 일본에서 사망했습니다 (『일본서기』, 제17권).
2001년 12월 18일, 천황탄생일을 앞두고 매년 열리는 기자회견에서 아키히토 상황(간무 천황의 남계(男系) 자손)은 다음 해에 예정된 FIFA 월드컵 한일 공동개최에 대해 “말씀”하면서 다음과 같이 언급했습니다.[41] “저는 개인적으로 간무 천황의 생모가 백제 무령왕의 자손이라는 것이 『속일본기』에 기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한국과의 인연을 느끼고 있습니다. 무령왕은 일본과의 관계가 깊었고, 이때 이후로 일본에는 오경박사가 대대로 초빙되었습니다. 또한 무령왕의 아들 성왕은 일본에 불교를 전파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44]
이 발언은 각 방송사 뉴스에서 반복적으로 보도되었지만, 일본의 주요 신문들은 간략하게 보도했습니다. 한국에서는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고, “황실은 한국인의 혈통을 잇고 있다”, “황실 백제 기원론”, “일왕이 비밀스러운 사실을 폭로했다” 등 발언 의도와는 다른 보도도 많았습니다.[45][46] 당시 김대중 대통령이 신년 기자회견에서 환영의 뜻을 표명할 정도였습니다.[47] 아키히토 상황은 헤이조쿄 천도 1300주년 기념 축전 인사말에서도 백제와의 인연에 대해 같은 취지의 발언을 했습니다.[48]
참조
[1]
웹사이트
桓武天皇 (50)
http://www.kunaicho.[...]
2013-08-22
[2]
서적
Etchū
https://books.google[...]
Japan Encyclopedia
2005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서적
https://books.google[...]
[6]
뉴스
The emperor's new roots: The Japanese emperor has finally laid to rest rumours that he has Korean blood, by admitting that it is true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London)
2001-12-28
[7]
서적
Nagaoka: Japan's Forgotten Capital
Brill
2008
[8]
백과사전
Shogun
http://www.britannic[...]
2014-11-19
[9]
서적
Jinnō Shōtōki
1980
[10]
서적
https://books.google[...]
[11]
서적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NengoCalc
http://web.me.com/me[...]
[13]
서적
https://books.google[...]
[14]
서적
https://books.google[...]
[15]
서적
https://books.google[...]
[16]
서적
https://books.google[...]
[17]
서적
https://books.google[...]
[18]
서적
[19]
서적
The Gates of Power: Monks, Courtiers, and Warriors in Premodern Japan
https://books.google[...]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07-01
[20]
서적
A History of Japan to 1334
https://books.google[...]
Stanford University Press
1958
[21]
웹사이트
kugyō of Kanmu-tennō
http://www.furugosho[...]
[22]
서적
[23]
서적
[24]
웹사이트
Emperor Saga (嵯峨天皇)
https://japanese-wik[...]
[25]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26]
뉴스
Guardian
https://www.theguard[...]
TheGuardian.com
2001-12-28
[27]
문서
続日本後紀 承和10年7月庚戌(23日)条
[28]
서적
平安前期の政変と皇位継承
吉川弘文館
2022
[29]
서적
律令体制史研究
岩波書店
2022
[30]
서적
新撰姓氏録の研究
[31]
서적
事典陵墓参考地 もうひとつの天皇陵
吉川弘文館
2005
[32]
문서
日本紀略 延暦11年8月4日条
[33]
서적
仁明朝史の研究 承和転換期とその周辺
http://www.shibunkak[...]
思文閣出版
2011-02
[34]
서적
日本後紀 訳注日本史料
集英社
2003
[35]
서적
平安前期の政変と皇位継承
吉川弘文館
2022
[36]
간행물
桓武天皇柏原陵の所在について(上)
史迹と美術 882号
[37]
서적
歴史検証天皇陵
新人物往来社
[38]
간행물
桓武天皇陵と仁明天皇陵の所在地
続日本紀研究398号
[39]
간행물
[40]
간행물
桓武天皇柏原陵の所在について(下)
史迹と美術 883号
[41]
문서
続日本紀 巻第四十
http://www.j-texts.c[...]
[42]
문서
続日本紀 巻第四十
http://www.j-texts.c[...]
[43]
논문
百済王氏存続の要因
仏教大学総合研究所紀要 21号
[44]
웹사이트
天皇陛下のお誕生日に際しての記者会見の内容
https://www.kunaicho[...]
2008-11-07
[45]
웹사이트
日王、朝鮮半島との血縁関係を初めて言及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1-12-23
[46]
웹사이트
「日王は百済の末裔」韓国人学者の主張
http://www.chosunonl[...]
朝鮮日報
2001-12-24
[47]
뉴스
毎日新聞
2002-01-15
[48]
웹사이트
金剛学園出演「歌垣」が結ぶ韓日中 平城遷都祭「花いちもんめ」一緒に
http://www.mindan.or[...]
민단新聞
[49]
웹사이트
백제 도래인계 일본 간무 천황은 누구인가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50]
뉴스
The emperor's new roots: The Japanese emperor has finally laid to rest rumours that he has Korean blood, by admitting that it is true,
http://www.guardian.[...]
The Guardian (London)
2001-12-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